티스토리 뷰

윈도우10

Win11 계정 없이 설치하는 방법

카르텔김 2025. 3. 18. 23:51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윈도우 11을 설치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윈도우 11을 설치하다 보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요, 개인적으로 로컬 계정을 선호하시는 분들을 위해 이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Windows 로그인 옵션 조정"

윈도우 11 설치 시 로컬 계정 설정의 필요성

윈도우 11을 설치할 때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이 필수가 되면서, 인터넷 연결 없이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는 것이 어려워졌습니다. 하지만 로컬 계정을 사용하면 개인 정보 보호나 간단한 설정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두시면 유용합니다.

"대형 화면에서 로그인 옵션을 설정하는 다양한 사용자들."
"로그인 옵션 설정 화면"

로컬 계정으로 윈도우 11 설치하기: 방법 소개

윈도우 11을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설치 과정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우회하는 방법입니다.

"보안 아이콘이 포함된 노트북 화면에서 로그인 창이 표시된 모습."
"보안 로그인 화면"
 
 

방법 1: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 설치

  1. 윈도우 11 설치 시작: 윈도우 11 설치를 시작하고, 언어 및 키보드 레이아웃 등을 설정합니다.
  2. 네트워크 연결 화면에서 명령 프롬프트 열기: 네트워크에 연결하라는 화면이 나타나면, Shift + F10 키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엽니다.
  3. 명령어 입력: 명령 프롬프트 창에 oobe\bypassnro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컴퓨터가 재부팅됩니다.
  4. 재부팅 후 설치 진행: 재부팅이 완료되면 다시 설치 과정이 시작됩니다. 이때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고 진행합니다.
  5. 로컬 계정 설정: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옵션을 선택하고, ''제한된 설치로 계속''을 클릭하여 로컬 계정을 설정합니다.
"어두운 배경에서 사용자들이 Windows 시스템을 설정하는 장면."
"Windows 시스템 설정"

방법 2: 인터넷 연결 상태에서 우회 설치

  1. 윈도우 11 설치 시작: 윈도우 11 설치를 시작하고, 언어 및 키보드 레이아웃 등을 설정합니다.
  2. 인터넷 연결: 네트워크에 연결하라는 화면이 나타나면, 인터넷에 연결합니다.
  3.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 화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로그인을 요구하는 화면이 나타나면, 이메일 주소 입력란에 a@a.com과 같은 임의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다음 화면에서 임의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4. 로그인 오류 발생: 잘못된 계정 정보로 인해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면,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5. 로컬 계정 설정: 이후 로컬 계정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나며,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로컬 계정을 생성합니다.
"산과 하늘을 배경으로 사용자들이 Windows 로그인 옵션을 설정하는 장면."
"자연 속 로그인 설정"

설치 후 로컬 계정 추가 방법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윈도우 11을 설치하셨다면, 아래와 같이 로컬 계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설정 열기: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열고, ''계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2. 다른 사용자 추가: ''가족 및 다른 사용자''를 선택하고, ''다른 사용자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3. 계정 정보 입력 건너뛰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입력 화면에서 ''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를 클릭합니다.
  4. 로컬 계정 생성: ''Microsoft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를 선택하고,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여 로컬 계정을 생성합니다.
"인터넷과 연결된 대형 화면에서 사용자들이 로그인 환경을 설정하는 모습."
"네트워크 로그인 설정"

마치며

이렇게 해서 윈도우 11 설치 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로컬 계정을 사용하면 불필요한 동기화나 알림 없이 깔끔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어서 선호하는 편입니다. 여러분도 필요에 따라 이 방법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Windows 로그인 설정 조정"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