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블록 계산식 빼기'' 기능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름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거린다고요? 걱정 마세요! 중학생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한글 프로그램이 뭐예요?
한글 프로그램은 우리가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워드 프로세서예요. 학교에서 리포트를 쓸 때나, 일기장을 컴퓨터로 작성할 때 많이 사용하죠. 그런데 이 한글 프로그램에는 단순히 글을 쓰는 것뿐만 아니라, 계산도 할 수 있는 기능이 숨겨져 있어요. 바로 ''블록 계산식'' 기능이랍니다.

블록 계산식이 뭐죠?
블록 계산식은 한글 문서 안에서 숫자를 입력하고, 그 숫자들을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기능이에요. 예를 들어, 우리가 수학 시간에 덧셈이나 뺄셈을 할 때 계산기를 사용하잖아요? 한글에서는 이 ''블록 계산식'' 기능을 사용하면 문서 안에서 바로 계산을 할 수 있어요. 특히, 여러 숫자를 한꺼번에 선택해서 계산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하답니다.

블록 계산식으로 빼기(뺄셈) 하는 방법
자, 이제 본격적으로 한글에서 블록 계산식을 사용하여 빼기, 즉 뺄셈을 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단계별로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어렵지 않아요!

1. 한글 프로그램 실행하기
먼저,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해주세요. 바탕화면에 있는 한글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면 프로그램이 열릴 거예요.

2. 새 문서 열기
한글이 실행되면, 새 문서를 열어주세요. 보통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새 문서가 열리지만, 그렇지 않다면 상단 메뉴에서 ''파일''을 클릭한 후 ''새 문서''를 선택하면 돼요.

3. 숫자 입력하기
이제 문서에 계산하고 싶은 숫자들을 입력해야겠죠? 예를 들어, 100에서 30을 빼고 싶다면, 문서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세요:
100
30
각 숫자는 엔터 키를 눌러서 줄바꿈을 해주세요. 그래야 나중에 계산할 때 편리하답니다.
4. 계산할 숫자 블록 지정하기
이제 입력한 숫자들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해주세요. 이렇게 선택하는 것을 ''블록 지정''이라고 해요. 블록을 지정하면 선택한 부분이 파란색으로 변할 거예요.
5. 계산식 입력하기
블록을 지정한 상태에서 키보드의 ''Shift'' 키와 ''='' 키를 동시에 눌러보세요. 그러면 화면 하단에 작은 계산 입력 창이 나타날 거예요. 여기에서 우리가 원하는 계산식을 입력할 수 있어요.
6. 빼기 계산식 작성하기
이제 계산 입력 창에 빼기 계산식을 작성해볼게요. 한글의 블록 계산식에서는 기본적으로 선택한 숫자들의 합계를 구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것은 빼기죠.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입력해야 해요:
=SUM - 2*30
여기서 =SUM
은 선택한 숫자들의 합계를 구하라는 의미이고, - 2*30
은 두 번째 숫자인 30을 두 번 빼라는 의미예요. 왜 두 번 빼냐고요? 첫 번째 =SUM
에서 이미 100과 30을 더했기 때문에, 30을 한 번 더 빼줘야 실제로 100에서 30을 뺀 결과가 나오거든요.
7. 계산 결과 확인하기
계산식을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르면, 선택한 숫자 아래에 계산 결과가 나타날 거예요. 위의 예시에서는 =SUM - 2*30
을 입력했으니, 결과는 70이 나오겠죠?

다른 예시로 연습해보기
한 가지 예시만으로는 감이 잘 안 올 수 있으니, 다른 예시로도 연습해볼게요.
예시 1: 200에서 50을 빼기
- 문서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세요:
-
200 50
- 두 숫자를 블록 지정하세요.
- ''Shift'' + ''='' 키를 눌러 계산 입력 창을 여세요.
- 다음과 같이 입력하세요:
-
=SUM - 2*50
- ''Enter'' 키를 누르면 결과가 150으로 나타날 거예요.
예시 2: 500에서 120을 빼기
- 문서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세요:
-
500 120
- 두 숫자를 블록 지정하세요.
- ''Shift'' + ''='' 키를 눌러 계산 입력 창을 여세요.
- 다음과 같이 입력하세요:
-
=SUM - 2*120
- ''Enter'' 키를 누르면 결과가 380으로 나타날 거예요.

블록 계산식 활용 팁
- 여러 개의 숫자 계산하기: 만약 여러 개의 숫자를 한꺼번에 계산하고 싶다면, 모든 숫자를 입력한 후 블록 지정해서 위의 방법을 따라하면 돼요. 예를 들어, 100, 50, 30을 입력하고, 50과 30을 빼고 싶다면
=SUM - 2*50 - 2*30
이렇게 입력하면 돼요. - 계산 결과 업데이트: 만약 숫자를 변경했는데, 계산 결과가 업데이트되지 않는다면, 계산식을 다시 입력하거나 문서를 저장한 후 다시 열어보세요.
- 다양한 연산자 사용하기: 블록 계산식에서는 빼기뿐만 아니라 덧셈(
+
), 곱셈(*
), 나눗셈(/
) 등 다양한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어요. 이를 활용하면 더 복잡한 계산도 할 수 있답니다.

마무리하며
어때요? 한글의 블록 계산식 기능을 사용해서 빼기 계산을 하는 방법,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처음에는 조금 헷갈릴 수 있지만, 몇 번 연습하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학교 과제나 일상생활에서 한글을 사용할 때, 이 기능을 활용하면 계산기를 따로 꺼낼 필요 없이 바로 계산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하답니다.
한글에서 메모 기능 사용법
목차메모 기능이란?메모 삽입 방법메모 편집 및 삭제메모 표시 설정메모 인쇄 설정메모 활용 팁마무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글 문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메모 기능''에
kaleutelkim.tistory.com
한글 문서에서 특정 페이지 삭제하는 방법
목차한글 문서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특정 페이지 내용 삭제하기페이지 나누기 설정 확인하기주의사항마치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한글 문서에서 특정 페이지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kaleutelkim.tistory.com
'윈도우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문서에서 그림 삽입하는 방법 (0) | 2025.04.01 |
---|---|
윈도우 10 비밀번호 분실 시 해결 방법 (0) | 2025.03.31 |
컴퓨터 비밀번호 변경 방법 (0) | 2025.03.30 |
윈도우 11 시작 버튼 알아보기 (0) | 2025.03.30 |
윈도우 폴더 비밀번호 설정 방법 (0) | 2025.03.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갤럭시
- 윈도우11
- 컴퓨터활용
- 엑셀사용법
- 엑셀
- 스마트폰신분증
- 안전운전
- 사용자팁
- 엑셀단축키
- 업무효율
- 위젯활용
- 마이크로소프트계정없이
- 단축키
- 컴퓨터팁
- 정부24
- 엑셀활용
- 데이터관리
- 아이폰
- 윈도우
- 엑셀팁
- 생활꿀팁
- 엑셀기능
- 데이터정리
- 윈도우10
- 개인정보보호
- 문서편집
- 한글
- 윈도우팁
- 컴퓨터문제해결
- 배터리경고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